국제신문산행기/밀양,청도

우령산~종남산 종주

모스키오토 2007. 8. 17. 12:31
 
근교산을 오르는 산악동호인들에게 밀양시는 남다른 곳이다. 사방으로 뻗어 있는 능선상에 솟은 산을 찾기 위해선 이곳을 경유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산악동호인들이 밀양에 대해 알고 있는 것은 별반 없다.

다시찾는 근교산팀이 이번에 오른 산행지는 밀양시의 이모저모를 조망하며 마음껏 달릴 수 있는 곳이다. 특히 밀양시가지를 휘감아 흐르는 밀양강, 곡류천을 따라 펼쳐지는 기름진 평야가 동호인들의 마음까지 녹여준다.

밀양시의 중심에 솟아 시가지를 동서로 가르는 우령산~종남산 종주는 산을 타는 맛도 특별나다. 주능선에 올라서면 순한 산길이 이어지는 데다 군데군데 암릉이 터잡아 산행의 재미를 더해 주기 때문이다. 여기다 산행자의 시야를 가리는 잡목도 없어 시원스레 펼쳐지는 주위의 능선을 조망하며 산길을 달릴 수 있다. 특히 우령산에서 480m봉까지 이어지는 30분의 암릉구간과 복호암을 오를 때는 마음을 다잡고 올라야 한다.

산행 코스는 「밀양 무안면 마흘리 신생마을~482m봉~541m봉~바위전망대~522m봉~우령산(586m)~복호암~480m봉~방동고개(방울재)~종남산(終南山·663.5m)~밀양 상남면 기산리 대동아파트」로 산행시간은 5시간30분~6시간이 소요된다.

 
밀양시외버스터미널에서 무안·구기행 버스를 타고 가다 신생에서 내린다. 견고개라 불리는 이곳에는 「밀양 의견상」이 서 있다. 조선 숙종 때 이 고개에서 산불이 났는데 세무관인 허초벽(許楚壁)이 술에 취해 일어나지 못하자 따르던 개가 몸에 물을 묻혀 주인을 구하고 자신은 죽었다는 설화를 품고 있는 현장이다.

밀양 의견상을 20여m 지나 왼쪽으로 오르는 오솔길이 들머리다. 왼쪽의 소목축장과 과수원을 지나면 가파른 비탈길이 이어진다. 초입부터 호락호락하지 않다. 덩굴이 산행자를 가로막고 너덜이 많아 산행자를 괴롭게 한다. 경사도 만만하지 않다. 능선까지 올라서려면 힘이 든다. 서둘지말고 천천히 능선으로 오른다는 생각을 가져야 한다. 60여분 이면 봉분 1기가 소담하게 자리잡은 440m봉에 선다. 왼쪽 수풀사이로 50m 내려와 잠시 숨을 고른 뒤 오르막 능선을 탄다. 지금부터 마른 삭정이 사이로 조망이 열린다.

40여분 산행로를 따라가면 482m봉을 지나 541m봉에 선다. 정상부의 안동손씨 묘를 지나 10여m 아래에 바위전망대가 자리하고 있다. 조망이 특별하지는 않지만 가야할 산행길을 이곳에서 가늠할 수 있다. 이번 산행의 중심인 우령산과 종남산이 멋진 모습으로 다가온다. 왼쪽으로 밀양시가지 전경이 서서히 시야에 들어온다. 암릉구간이 머리를 내밀면서 황금빛 솔가리에 산길이 흐릿해 진다.

522m봉을 지나면 암릉지대다. 쓰러진 고목들이 산행자의 갈길을 방해한다. 쓰러진 고목들은 뿌리마다 바위덩어리를 한아름씩 안고 있다. 암반에 뿌리를 내리지 못한 나무들이 지난 여름 태풍을 이기지 못하고 쓰러진 것이다.
암릉지대를 25분 정도 타고 올라서면 우령산 정상이다. 이곳을 중봉이라 부르는 사람들도 있다. 다시찾는 근교산 취재팀은 밀양지명고(密陽地名考·밀양문화원 1994)를 참고, 이 봉우리를 우령산이라 명명했다. 마을사람들도 이 봉우리를 「으름산」, 「으릉산」이라 부른다. 이 역시 「우령산」에서 나온 말이다.

 
우령산 정상에서는 세 방향으로 산길이 열린다. 왼쪽은 무안면 마흘리로 하산하는 길이고 종남산으로 이어 달리는 산행로는 오른쪽으로 연결된다. 우령산을 지나면 본격적인 암릉구간이 이어진다. 초보 동호인들에겐 다소 위험하므로 정신을 바짝 차려야 한다. 몸의 자세를 낮추고 조심스럽게 암릉구간을 통과한다. 힘이 드는 구간이긴 하지만 시원스레 펼쳐지는 밀양시가지를 바라보며 걷는 재미도 쏠쏠하다. 왼쪽으로 사행천인 밀양강과 새롭게 조성되고 있는 시가지의 전경이, 오른쪽으로 초동면 방동마을의 평야가 풍요로움을 더해준다.

암릉구간을 25분 정도 타면 능선을 가로 막는 거대 암봉이 산길을 감춘다. 이 봉우리가 복호암이다. 암봉 등허리에 올라 왼쪽으로 트래버스하면 정상에 설 수 있다. 그러나 자일과 같은 안전시설 없이 30여m 낭떠러지를 등뒤에 두고 올라야 하므로 자신이 없는 사람은 포기하는 게 좋다. 복호암은 마치 호랑이 한마리가 웅크리고 앉아 있는 모습을 하고 있어 지역주민들이 붙인 이름이다.

복호암을 올랐다 바로 이어지는 길은 없다. 올랐던 길을 뒤돌아 나와 왼쪽 내리막으로 방향을 잡아야 한다. 10여m 아래로 내려온 뒤 복호암을 살짝 피해 능선길로 올라선다.

또 하나의 암봉이 자리한 480m봉을 지나면 방동고개다. 왼쪽은 부북면 전사포리, 오른쪽은 초동면 방동마을로 떨어지는 탈출구다. 이곳은 과거 무안과 창녕을 오가던 길목이었다. 등짐맨 나귀가 방울 소리를 내며 오가는 것이 끊이지 않았기에 일명 방울재라고도 불렀다.

갑자기 비탈길이 시작된다. 암릉이 사라지고 철쭉 군락이 앞을 가로 막는다. 30여m 힘겹게 오르면 억새밭이다. 이곳에서는 길잡이가 되는 리본을 따로 붙일 수가 없으므로 당황하면 길을 잃기 십상이다. 억새가 뉘어진 곳을 유심히 살핀 뒤 산길을 이어가야 한다. 억새밭의 끝에는 목을 축일 수 있는 약수터가 자리하고 있다. 그러나 겨울에는 메말라 물한잔 얻어먹기 힘들다.

연결되는 산길은 약수터 가기전 억새밭 중간에서 왼쪽으로 방향을 틀어야 한다. 성인 키만큼 자란 철쭉이 군락을 이룬 사이로 가르마 같은 샛길이 눈에 띈다. 200여m 오르막길을 차고 오르면 넓은 임로를 만난다. 300여m 위가 종남산 정상이다.

종남산 정상은 평평한데다 조망이 남다른 곳이다. 이곳에는 산불감시초소가 서 있다. 12시 방향 화악산, 3시 방향 화왕산, 7시 방향 덕대산, 10시 방향 창녕 영취산 등이 시야에 들어온다.

하산길은 두 갈래로 나 있다. 봉화대가 이정표다. 봉화대를 지나면 A코스, 봉화대 직전 오른쪽으로 떨어지면 B코스다.
A코스는 「종남산~봉화대~봉화재~임도~상남면 기산리 대동아파트」로 시간은 1시간 정도 걸린다. 대동아파트로 바로 떨어지므로 교통편이 좋다.

B코스는 「종남산~샛길~임도~봉분군(群)~상남면 기산리 기산마을」로 시간은 1시간40분 정도면 가능하다. 샛길을 따라 5분만 내려오면 임도에 닿는다. 10여분 왼쪽으로 방향을 잡아 임도를 따라 걷다 커브길에서 산길로 파고들어야 한다. 계속해 산행을 이어갈 수 있다는 점에서 산을 타는 맛은 있지만 교통편이 여의치 않다. 기산마을에서 대동아파트까지 10여분 걸어 가야 한다.


▲산행정보문의=다시찾는 근교산취재팀(051-500-5150~1) 이창우 산행대장(백두산장 대표 051-852-0254 · 홈페이지 www.yahoe.co.kr)

 


# 교통편

이번 산행은 경부선 철도를 이용한다. 부산역에서 오전 7시15분, 7시30분, 8시15분, 8시30분 등 약 20분 간격으로 열차가 출발한다. 무궁화 평일할인 4천원. 주말할증 4천7백원. 소요시간 47분. 밀양역에 내려 밀양시외버스터미널로 가야한다. 역앞에는 시내버스가 많다. 요금 800원. 20분 소요.

밀양시외버스터미널에서 무안·구기행 버스를 탄다. 오전 7시50분, 8시20분, 9시20분, 10시10분 등 1시간 마다 출발한다. 무안까지는 2구간으로 700원. 산행기점이 되는 신생(일명 개고개)까지 20분 걸린다. 부산서 오전 7시15분 출발하는 무궁화 열차를 타면 오전 9시20분발 무안·구기행 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밀양시 상남면 기산리 대동아파트로 하산하면 교통편을 걱정할 필요가 없다. 버스는 물론 아파트 앞이라 택시도 많다. 역까지 4인 기준 2천원.



박병률기자